지금까지 늘 동의어로만 알고 있던 can, be able to, be capable of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언제 대체해서 사용가능한지, 언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없는지 이 모든 것을 깔끔하게 한방에 정리되는 영어 유튜브 강의, 쓰는 영어입니다.
can vs be able to vs be capable of
I can swim.
I am able to swim.
I am capable of swimming
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?
(ep.41) can 과 be able to가 동의어라구요?ㅣ절대 몰랐을 조동사의 미묘한 의미차이 (8분 51초)
VIDEO
can vs be able to vs be capable of
▶can: 조동사
조동사의 특징?
1.조동사는 뒤에 동사원형이 옵니다. I can walk.
2.시간의 표현에 제약이 있습니다.
3.다른 조동사와 함께 쓸 수 없습니다.
→ 이런 조동사의 한계점을 보완해 주는 방법: be able to +V 사용!
▶be able to: (그냥) 동사
◈ 요즘에 잠을 잘 잘수가 없네~
(할 수가 없는 상황이 과거에서 현재까지 쭉~되고 있다는 것 표현)
하지만 조동사 can에 현재완료를 넣어 줄 수는 없죠.
→ can을 be able to로 바꿔줍니다.
I haven’t been able to sleep these days.
◈그 파티 갈 수 없을지도 몰라.
할 수없다: can’t
~일지도 몰라: may, might
하지만 조동사 두개는 함께 쓰일 수가 없죠.
→ can을 be able to로 바꿔줍니다.
I might not be able to go to the party.
Our employees need to be able to speak English.
*can 대신 be able to를 쓰는 첫번째 이유:
조동사can의 한계를 (시간 표현의 한계, 조동사 두 개이상 못씀)
극복하기 위해 can을 be able to로 바꿔씁니다.
하지만! 문제는 can을 쓸 수 있는데도 굳이 be able to V를 쓸 때입니다!
I can swim.
I am able to swim.->어색하게 들림
I am able to swim today. (자연스러운 문장): 이유와 상황설명
영어의 5원리 중 하나: 효율성이 뛰어나다.
★can은 보통 일반적인 능력을 표현(general ability)
★be able to는 특정한 상황, 시간, 장소에서의 능력을 표현(specific ability)
따라서! 일반 회화에서 be able to는 안되는 줄 알았는데 가능하게 했거나, 되는 줄 알았는데 불가능해졌을 때 많이 쓰여요.
Even though he was very sick, he was (still) able to pass the test.
Because he was so small, he was able to get out.
*can 대신 be able to를 쓰는 첫번째 이유:
일반적인 능력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상황에서의 능력을 이야기 할 경우에는
(특히 다 안될거라고 생각했는데 가능해진 상황이나 그 반대의 경우에 많이 쓰입니다.)
can 대신 be able to를 쓸 수 있습니다.
▶be capable of
흔히 할 수 있는 능력보다 더 뛰어난 능력에 사용→ 의지가 내재(육체적 능력+정신적 선택)
I am capable of taking care of myself.
~하고도 남을 사람이에요, 충분히 ~할 수 있어요, ~할 위인이 (못)돼요.
◈사람을 죽이고도 남을 사람이에요.
He is capable of killing people.
조급해하지 마시고,
차근차근 실력을 쌓아가세요!